티스토리 뷰
채권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이 회수되는데까지 걸리는 가중된 평균기간(Weighted Average Term-to-Maturity)
다른 조건이 같다면 듀레이션이 짧은 채권이 좋은 채권
채권가격의 변동성(volatility)을 가늠하는 지표
채권가겨(P)과 수익률(y)은 일정 배수로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는데 그 배수가 듀레이션
볼록성(Convexity)
동일한 수익률에서도 곡선의 볼록한 정보에 따라 채권가격의 변동정도 차이가 발생되는데 이때 볼록한 정보를 나타내는 지표
채권가격-수익률곡선 기울기의 변화정도
특징
- 표면이율과 잔존기간이 일정할 경우 만기수익률이 낮을수록 볼록성은 커진다.
- 만기수익률과 잔존기간이 일정할 경우 표면이율이 낮아질수록 볼록성은 커진다.
- 만기수익률과 표면이율이 일정할 경우 잔존기간이 길어질수록 볼록성은 커진다.
댓글